이슈글

티몬 위메프 사태 발생의 진짜 이유

유유랑 2024. 7. 26.
반응형

위메프는 환불 요구 고객들이 본사를 점거하게 되었다. 전날 새벽부터 현장 환불을 진행하였고 26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환불 처리된 누적 인원이 2천 명을 넘게 되었다.

 

위메프 측에서 고객 2천 명 이상의 여행상품 등 환불을 마친 뒤인 26일 오전부터 본사 현장 접수를 중단하게 되면서 대기하던 고객 100여 명이 항의하며 고성이 오가는 상황이 재연됐다.

 

 

1. 환불이 늦어지는 이유

 


처음에는 수기로 고객 정보를 받아 계좌에 입금하는 방식으로 시작해 속도가 다소 더뎠다. 하지만 25일 오전 10시부터 QR코드로 고객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바꾸게되면서 전산 처리가 빨라졌다.

위메프는 현장 환불 처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고 판단하여 이날 오전 5시부터 온라인 환불 접수로 단일화했으나 접수를 기다리던 고객들이 "오늘부터는 돈이 없는 거네", "사장 나와라" 등 소리를 지르며 항의해 소란이 일었다. 경찰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인력을 배치했다.

 

 

2. 티몬 환불 시작

 


전날 밤늦게 점거 사태를 빚은 티몬도 이날 새벽부터 현장 고객에 대한 환불을 시작하였으나 서울 강남구 신사동 티몬 신사옥에서는 현장 접수 소식을 들은 고객이 수도권은 물론 지방에서부터 몰려들어 혼잡을 빚고 있다.

 

티몬 운영사업본부장은 이날 새벽 고객들에게 "유보금으로 30억∼40억 원가량의 환불 자금을 마련했다"라고 설명하였으나 고객들은 자금이 곧 떨어질 것으로 우려하였다.

 

 

특히 큐텐이 지난 2월 현금 2천300억원을 주고 인수한 북미·유럽 기반 전자상거래 플랫폼 위시에서도 환불이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로 인하여 환불 지연 사태가 큐텐그룹 전체로 확산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3. 중요단서


이러한 좌중지란의 상황에서 25일 티몬 본사 사무실에서는 이번 사태의 피해 규모를 대략 짐작게 하는 직원 메모가 발견돼 주목받았는데 메모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5천억∼7천억 원(티몬)+예상 1조 원 이상"이라는 내용이 있다. 티몬의 미정산금만 5천억∼7천억 원에 달하고 모회사인 큐텐과 위시, 위메프 등의 계열사까지 합하면 1조 원을 넘길 것으로 추정한 것으로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메모에는 "정상화 어려움 판단/ 기업 회생 고려"라고 적힌 부분도 눈길을 끈다. 회사 내부에서도 이미 회사 정상화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는 것이다.

실제 티몬과 위메프가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면 채무 일부를 탕감받게 돼 최종적으로 거액을 정산받지 못하는 다수의 판매자가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사태가 직면한 어려움이다.

이 메모가 내부 회의 내용을 적은 것인지, 작성 직원의 추측성 메모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4. 티몬 임직원 반격



하지만, 메모 내용을 두고 논란이 일자 티몬 임직원 단체카톡방에 작성자로 추정되는 인물이 '혼자서 추정한 것일 뿐 근거 없는 내용'이라는 취지의 글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판매대금 정산·환불 지연 사태의 파장이 걷잡을 수 없이 악화하고 있으나 사태를 초래한 장본인으로 꼽힌 모회사 큐텐 창업자 구영배씨는 여전히 행방이 모연 한 상황이다.

티몬·위메프 측은 고객 환불부터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소상공인·영세사업자들의 판매대금부터 지급해 나간다는 방침이지만, 무엇보다 '자금수혈'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큐텐그룹 구 대표가 사모펀드·벤처캐피탈·금융권 등을 통해 자금을 수혈하지 못하게 되면 사재를 털어서라도 책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큰 상황에서 과연 어떻게 될지 지켜보아야 할 문제이다.

 
반응형

댓글